본문 바로가기

기본 간호

산소요법

산소 요법

 

산소요법(Oxygen Therapy)

**산소요법(Oxygen Therapy)**은 저산소증(Hypoxia) 상태의 환자에게 의료용 산소를 공급하여 체내 산소 농도를 유지하거나 회복시키는 치료법이다.

산소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이며, 산소 공급이 부족하면 뇌, 심장, 신장 등의 주요 장기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산소요법의 적응증, 공급 방법, 적용 시 주의사항을 숙지하고, 산소 치료를 받는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1. 산소요법(Oxygen Therapy)란?

산소요법은 혈액 내 산소포화도를 유지하거나 증가시키기 위해 인위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치료법이다.

산소요법의 주요 목적

  • 저산소증(Hypoxia) 개선: 조직과 세포에 충분한 산소 공급
  • 호흡곤란(Dyspnea) 완화: 폐 기능 저하 환자의 호흡 보조
  • 산소포화도(SpO₂) 유지: 혈액 내 산소농도를 95~100% 범위로 유지
  • 조직 손상 예방: 장기(뇌, 심장, 신장)의 저산소증으로 인한 손상 방지

📌 산소요법은 적절한 용량과 방법으로 시행해야 하며, 산소 농도가 과도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산소요법


2. 산소요법 적용 대상

산소요법이 필요한 대표적인 질환과 증상은 다음과 같다.

저산소증(Hypoxia)이 있는 환자

✔ 산소포화도(SpO₂) 90% 이하
✔ 동맥혈 산소분압(PaO₂) 60mmHg 이하

호흡기 질환 환자

✔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천식, 폐렴
✔ 폐섬유화, 폐부종, 호흡부전

심혈관계 질환 환자

✔ 심부전, 심근경색, 저혈압성 쇼크
✔ 심정지 후 회복기 환자

외상 및 신경학적 질환 환자

✔ 두부 손상(TBI), 뇌졸중(Stroke)
✔ 쇼크 상태, 대량 출혈, 중증 감염(패혈증)

📌 산소요법이 필요한 환자는 빠르게 평가 후 적절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산소요법의 종류 및 적용 방법

산소 공급 방법은 환자의 상태와 산소 요구량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① 비침습적 산소 공급 방법

산소 공급 방법FiO₂ 범위(%)유량(L/min)적용 대상
비강 캐뉼라(Nasal Cannula) 24~44% 1~6L/min 경미한 저산소증, 만성질환 환자
단순 마스크(Simple Mask) 40~60% 5~10L/min 중등도 저산소증 환자
벤츄리 마스크(Venturi Mask) 24~50% 4~15L/min 정확한 산소 농도 조절 필요 시
저소Flow 마스크(Partial Rebreather Mask) 60~80% 6~10L/min 중증 저산소증, 쇼크 환자
비재호흡 마스크(Non-Rebreather Mask, NRB) 80~100% 10~15L/min 심한 저산소증, 응급 환자

📌 비강 캐뉼라는 편리하지만 고유량이 필요할 경우 효과가 제한적이며, NRB 마스크는 높은 농도의 산소를 공급하지만 장시간 사용 시 CO₂ 저류 위험이 있다.


② 고유량 및 침습적 산소 공급 방법

산소 공급 방법FiO₂ 범위(%)유량(L/min)적용 대상
고유량 비강 캐뉼라(High-Flow Nasal Cannula, HFNC) 21~100% 30~60L/min 저산소증 환자, 기도 개방 유지 필요 시
지속적 기도 양압(CPAP) 21~100% 5~20cmH₂O 수면무호흡증, 경증 호흡부전 환자
이중 수준 기도 양압(BiPAP) 21~100% 10~30cmH₂O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악화 환자
기관내 삽관(Intubation) 후 인공호흡기(Ventilator) 21~100% 맞춤 설정 중증 호흡부전, 호흡정지 환자

📌 HFNC와 기도 양압 장치는 자발호흡이 가능한 환자에게 적용되며, 기계환기(Ventilator)는 심한 호흡부전 환자에게 필요하다.


4. 산소요법 시행 시 주의사항

산소 농도 및 유량 조절

저농도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증가 (COPD 환자는 산소 독성 위험)
✔ FiO₂ 50% 이상 장기 사용 시 산소 독성 주의

산소 공급 시 안전 관리

✔ 화재 위험 예방 (산소 사용 중 흡연 금지)
✔ 산소 저장 용기 및 튜브 점검 (누출 방지)

산소요법 부작용 예방

산소 독성(Oxygen Toxicity): FiO₂ 60% 이상 24시간 초과 시 폐손상 가능
CO₂ 저류(Carbon Dioxide Retention): COPD 환자는 과도한 산소 공급 시 호흡 억제 가능
건조한 산소로 인한 점막 손상: 가습기 사용으로 점막 보호

📌 산소요법 시행 중 환자의 호흡 상태, 의식 수준, SpO₂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5. 산소요법 간호 관리

산소요법 적용 전
✔ 환자의 산소포화도(SpO₂), 호흡수(RR), 의식 수준 평가
✔ 적절한 산소 공급 방법 및 유량 설정

산소요법 적용 중
✔ 호흡 상태 변화 지속 모니터링
✔ 산소 마스크 또는 캐뉼라의 밀착 여부 확인

산소요법 적용 후
✔ 산소포화도(SpO₂) 목표치 도달 여부 평가
✔ 필요 시 FiO₂ 및 유량 조절

📌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산소 공급을 조절하고, 부작용 발생 여부를 신속히 확인해야 한다.


마무리하며

산소요법은 저산소증을 치료하고 호흡부전을 예방하는 필수적인 간호 중재다. 하지만 과도한 산소 공급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농도와 유량 조절이 중요하다.

 

📌 산소요법 간호 핵심 포인트
저산소증의 원인과 환자의 상태 평가
적절한 산소 공급 방법 및 용량 설정
산소요법 부작용 예방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

 

🚨 "안전한 산소요법은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 핵심 간호 중재다!"

'기본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처 드레싱  (0) 2025.03.25
격리주의  (0) 2025.03.25
손위생  (0) 2025.03.25
감염 관리  (0) 2025.03.25
활력징후(Vital Sign)  (0) 2025.03.24
체온  (0) 2025.03.22
투약 간호  (0) 2025.03.22
영양 공급 및 경장 영양 관리  (0) 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