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Infection Control)
**감염관리(Infection Control)**는 의료 환경에서 병원체(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전파를 예방하고,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보호하는 중요한 간호 중재다.
감염 예방은 환자의 면역력 유지, 의료 관련 감염(HAI,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방지, 항생제 내성균 확산 예방 등에 필수적이다. 간호사는 감염의 발생 원인과 전파 경로를 이해하고, 표준주의 및 감염 관리 원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1. 감염이란?
감염(Infection)은 병원성 미생물이 인체에 침입하여 증식하면서 조직 손상을 유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감염이 발생하면 면역계가 이를 방어하지만, 면역력이 약한 환자는 중증 감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 감염 발생의 3요소 (감염 사슬, Chain of Infection)
- 병원체(Pathogen) –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
- 숙주(Host) – 병원체가 증식할 수 있는 인체 또는 환경
- 전파 경로(Mode of Transmission) – 감염이 퍼지는 과정
📌 감염 관리는 이 3가지 요소를 차단하는 것이 핵심이다.
2. 감염의 유형 및 특성
✅ 1) 감염의 진행 단계
감염은 노출 후 증상이 나타나는 과정을 거친다.
- 잠복기(Incubation Period): 병원체가 체내에 침입한 후 증상이 나타나기 전까지의 기간
- 전구기(Prodromal Stage): 미열, 피로, 근육통 등 초기 비특이적 증상 발생
- 급성기(Full-Stage Illness): 감염 증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시기
- 회복기(Convalescence Stage): 면역계가 병원체를 제거하고 회복하는 단계
✅ 2) 감염의 분류
✔ 지역사회 감염(Community-Acquired Infection, CAI)
- 병원 외부에서 발생하는 감염
- 독감, 식중독, 결핵 등
✔ 의료관련 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
- 입원 또는 의료 절차 중 발생한 감염
- 병원체가 항생제 내성을 가질 가능성이 높음
- 주요 유형: 요로감염(UTI), 폐렴, 수술부위 감염(SSI), 혈류 감염(BSI)
✅ 3) 감염의 전파 경로
접촉 감염(Contact Transmission) | 오염된 손, 의료기구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 접촉 | MRSA, VRE, 장관 감염(노로바이러스) |
비말 감염(Droplet Transmission) | 1m 이내에서 기침, 재채기, 대화 시 타액을 통해 감염 | 독감, 코로나19, 백일해 |
공기 감염(Airborne Transmission) | 공기 중 미세입자를 통해 먼 거리까지 전파 | 결핵, 홍역, 수두 |
매개체 감염(Vector-Borne Transmission) | 모기, 진드기 등 곤충이 매개하는 감염 | 말라리아, 라임병 |
📌 감염 유형에 따라 적절한 감염관리 전략을 적용해야 한다.
3. 감염관리 방법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표준주의(Standard Precautions) 및 전파경로별 감염관리가 필수적이다.
✅ 1) 표준주의(Standard Precautions)
표준주의는 모든 환자가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가정하고 적용하는 감염관리 원칙이다.
✔ 손위생(Hand Hygiene)
- 손 소독제(알코올 60~90%) 또는 흐르는 물과 비누로 손 씻기
- 환자 접촉 전후, 장갑 착용 전후 필수
✔ 개인보호구(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착용
- 장갑, 가운, 마스크, 안면보호구 사용
✔ 호흡기 위생 및 기침 예절
- 기침할 때 옷소매나 휴지로 입 가리기
- 환자는 가능한 한 단독실 배치
✔ 의료기구 및 환경 소독
- 오염된 의료 장비는 적절한 방법으로 소독
- 환자 침대, 테이블, 문 손잡이 등 자주 접촉하는 표면 정기 소독
✅ 2) 전파 경로별 감염관리
접촉 감염 | 손위생 철저, 1인실 권장, PPE 착용 | MRSA, VRE, 장관 감염 |
비말 감염 | 1m 이상 거리 유지, 수술용 마스크 착용 | 독감, 코로나19 |
공기 감염 | 음압 병실 사용, N95 마스크 착용 | 결핵, 홍역, 수두 |
📌 환자의 감염 유형에 따라 격리 수준과 감염관리 조치를 차별화해야 한다.
4. 간호사의 감염관리 역할
감염 예방은 환자, 의료진, 보호자 모두가 협력해야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 환자 간호 시 감염 예방
- 모든 환자에게 표준주의 적용
- 의료기구 사용 후 즉시 소독 및 폐기
✅ 병원 환경 관리
- 손위생 캠페인 시행
- 의료 폐기물(오염된 주사기, 혈액 묻은 거즈 등) 적절한 처리
✅ 감염 발생 시 신속한 대처
- 감염 의심 환자 즉시 격리
- 감염병 발생 보고 및 역학조사 협조
📌 간호사는 감염 예방의 최전선에서 역할을 수행하며, 환자와 동료 의료진의 안전을 지켜야 한다.
마무리하며
감염관리는 환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병원 내 감염 확산을 방지하는 필수적인 간호 중재다. 간호사는 표준주의 및 전파경로별 감염관리 원칙을 준수하고, 감염 예방 조치를 철저히 시행해야 한다.
📌 감염관리 간호 핵심 포인트
✅ 손위생 철저히 수행
✅ 표준주의 및 전파경로별 감염관리 적용
✅ 오염된 의료 기구 및 환경 적절히 소독
✅ 감염 발생 시 신속한 대처 및 보고
🚨 "감염 예방은 의료진과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가장 기본적인 간호 중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