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력징후(Vital Signs)
활력징후(Vital Signs, VS)는 환자의 기본적인 생리적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다.
활력징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해석하는 것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질병의 진행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데 필수적이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측정 방법을 숙지하고, 정상 수치와 이상 수치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를 신속하게 파악해야 한다.
1. 활력징후(Vital Signs)란?
**활력징후(VS, Vital Signs)**는 환자의 생명 유지와 관련된 기본적인 생리적 수치를 의미하며, 신체의 항상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다.
✅ 활력징후의 주요 요소
- 체온(Body Temperature, BT)
- 맥박(Pulse, PR) or (Heart Rate, HR)
- 호흡(Respiration, RR)
- 혈압(Blood Pressure, BP)
-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 SpO₂)
📌 활력징후는 환자의 상태 변화나 응급 상황을 조기에 감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정확한 측정과 기록이 필수적이다.
2. 활력징후의 정상 범위 및 의미
활력징후의 정상 범위는 나이, 건강 상태,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수치를 정상 범위로 간주한다.
체온(℃) | 36.5~37.5°C | 신체 대사 활동과 열 조절 상태를 반영 |
맥박(회/분) | 60~100회/분 | 심장의 박동수, 심혈관 건강 상태 평가 |
호흡(회/분) | 12~20회/분 | 폐의 산소 공급 및 이산화탄소 배출 능력 평가 |
혈압(mmHg) | 90/60 ~ 120/80 mmHg | 혈관 내 압력과 심장 기능을 반영 |
산소포화도(%) | 95~100% | 혈액 내 산소 공급 상태를 나타냄 |
📌 정상 수치를 벗어나는 경우, 환자의 건강 상태를 즉시 평가하고,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3. 활력징후 측정 방법 및 간호
① 체온(Body Temperature, BT) 측정
📍 체온 측정 부위
- 구강(Oral, O): 혀 아래 체온계를 위치시켜 측정(정확도 높음)
- 고막(Tympanic, T): 귀의 고막을 통해 측정(신속하고 편리)
- 액와(Axillary, A): 겨드랑이에 체온계를 위치(정확도 낮음)
- 직장(Rectal, R): 항문을 통해 측정(가장 정확하지만 불편함)
📍 체온 이상 시 간호 관리
✔ 저체온(<35°C): 보온 유지, 따뜻한 음료 제공
✔ 고열(>38°C): 해열제 투여, 수분 공급, 필요 시 냉찜질 시행
② 맥박(Pulse, PR) 측정
📍 맥박 측정 부위
- 요골동맥(Radial Artery): 손목에서 가장 흔히 측정
- 경동맥(Carotid Artery):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측정 가능
- 대퇴동맥(Femoral Artery): 하반신 혈류 상태 평가
📍 맥박 이상 시 간호 관리
✔ 빈맥(>100회/분): 탈수, 감염, 빈혈 여부 평가 후 적절한 조치
✔ 서맥(<60회/분): 심장질환, 약물 부작용 여부 확인
③ 호흡(Respiration, RR) 측정
📍 호흡 측정 방법
- 환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자연스럽게 관찰
- 가슴이나 복부의 움직임을 1분 동안 측정
- 호흡의 깊이와 리듬도 함께 평가
📍 호흡 이상 시 간호 관리
✔ 과호흡(>20회/분): 감염, 스트레스, 저산소증 여부 평가
✔ 서호흡(<12회/분): 신경계 손상, 약물 과다복용 가능성 확인
④ 혈압(Blood Pressure, BP) 측정
📍 혈압 측정 방법
- 혈압계를 팔 높이에 맞춰 조정
- 커프를 올바른 위치에 감고 청진기를 이용해 혈압 측정
- 최소 2회 측정 후 평균값 기록
📍 혈압 이상 시 간호 관리
✔ 고혈압(>140/90 mmHg): 저염식 식단, 운동, 스트레스 관리 필요
✔ 저혈압(<90/60 mmHg): 탈수 여부 확인, 수액 공급 고려
⑤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 SpO₂) 측정
📍 측정 방법
- **맥박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손가락, 귓불에 부착하여 측정
- 95% 이하일 경우 저산소증 가능성 있음
📍 산소포화도 이상 시 간호 관리
✔ 저산소증(SpO₂ <90%) 발생 시 즉각적인 산소 공급
✔ 기도 폐색 여부 확인 및 필요 시 흡인 시행
4. 활력징후 이상 시 간호사의 역할
📌 활력징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즉각적인 평가와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 환자의 상태 변화 즉시 보고
✅ 정확한 측정 및 반복 평가 수행
✅ 필요 시 산소 공급, 수액 투여, 약물 조절 시행
활력징후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지표이다. 간호사는 활력징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이상 수치가 발견되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 활력징후 관리 핵심 포인트
✅ 정확한 측정 및 기록 유지
✅ 정상 범위를 벗어난 수치는 즉각 보고 및 조치
✅ 환자의 상태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 "활력징후는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 가장 기본적인 간호 중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