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약 간호(Medication Administration)
투약 간호(Medication Administration)는 환자에게 올바른 약물을 적절한 방법으로 투여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 및 투약 오류를 예방하는 중요한 간호 중재이다.
병원에서 투약은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간호 행위 중 하나이지만, 약물 투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환자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7Right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여 안전한 투약 간호를 실천해야 한다.
1. 투약 간호란?
✅ 투약 간호의 정의
투약 간호란 환자에게 필요한 약물을 올바른 방법으로 투여하고, 그 반응을 관찰하며, 부작용을 예방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단순히 약을 전달하는 역할이 아니라,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약물의 효과 및 부작용을 모니터링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투약 간호의 목표
✔ 환자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증상을 완화
✔ 부작용 및 약물 상호작용을 최소화
✔ 투약 오류를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 보장
✔ 환자에게 약물의 목적과 올바른 복용 방법 교육
📌 투약 간호는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 중요한 간호 과정이다.
2. 투약 방법의 종류
약물 투여는 경로(투여 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시행된다.
① 경구 투여 (Oral Administration, PO)
✔ 특징: 입을 통해 약물을 복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 예시: 알약(Tablet), 캡슐(Capsule), 시럽(Syrup)
✔ 주의사항:
- 연하 곤란(삼킴 장애) 환자는 정제 약물 대신 액체 형태 사용
- 약물에 따라 식전·식후 복용 여부 확인
② 비경구 투여 (Parenteral Administration)
✔ 특징: 위장관을 거치지 않고 주사기로 직접 투여하는 방법
✔ 종류:
- 피하주사(SC, Subcutaneous Injection): 인슐린, 헤파린 등
- 근육주사(IM, Intramuscular Injection): 백신, 항생제 등
- 정맥주사(IV, Intravenous Injection): 응급 약물, 수액 치료 등
📌 주의사항
- 정맥주사 시 기포 유입 방지(공기 색전증 예방)
- 근육주사는 90도 각도로 깊숙이 투여
③ 점막 및 국소 투여 (Topical & Mucosal Administration)
✔ 특징: 피부 또는 점막을 통해 약물을 흡수시키는 방법
✔ 종류:
- 피부 도포 (Topical): 연고, 패치 형태(진통제 패치, 호르몬 패치)
- 흡입(Inhalation): 기관지 확장제(천식 치료제)
- 점안(Eye drop) & 점이(Ear drop): 안약, 귀약 등
📌 주의사항
- 점안제 사용 시 눈을 비비지 않도록 교육
- 패치 사용 시 교체 부위 번갈아 가며 부착
3. 안전한 투약을 위한 7Right 원칙
투약 간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7Right" 원칙을 준수하는 것이다.
🚨 7Right(7가지 정확성)란?
투약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7가지 기본 원칙
1️⃣ Right Patient (올바른 환자) | 투약 전 환자의 이름과 환자 ID(등록번호)를 확인하고, 팔찌나 차트를 대조해야 한다. |
2️⃣ Right Drug (올바른 약물) | 처방된 약물과 동일한지 3회 확인(조제 전, 준비 중, 투약 전) 해야 한다. |
3️⃣ Right Dose (올바른 용량) | 의사의 처방과 정확한 용량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소아·고령 환자는 용량 조절에 유의해야 한다. |
4️⃣ Right Route (올바른 투여 경로) | 경구, 정맥주사, 근육주사 등 투여 경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용해야 한다. |
5️⃣ Right Time (올바른 투여 시간) | 투약 시간이 지켜졌는지 확인하고, 식전/식후 여부 및 약물 간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한다. |
6️⃣ Right Documentation (올바른 기록) | 투약 후 환자의 반응을 관찰하고 정확한 투약 기록을 남겨야 한다. |
7️⃣ Right Reason (올바른 목적) | 해당 약물이 왜 필요한지,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교육해야 한다. |
✔ 7Right을 철저히 지키면 투약 오류를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4. 투약 간호 시 주의사항
① 투약 전 확인 사항
- 환자의 알레르기 여부 확인 (예: 페니실린 알레르기)
- 약물 유효기간 및 변질 여부 체크
- 약물의 상호작용 및 금기 사항 확인
② 투약 후 모니터링
- 약물 효과 발현 여부 및 이상 반응(두드러기, 호흡곤란 등) 감시
- 정맥주사 시 혈관 염증(정맥염) 발생 여부 확인
③ 응급 시 대처법
- 심한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 발생 시 즉시 에피네프린 투여
- 약물 과다 투여 시 해독제(Antidote) 확인 후 신속 조치
마무리하며
투약 간호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간호 중재다. 특히, 투약 오류는 심각한 의료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7Right 원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 안전한 투약 간호를 위한 핵심 포인트
✅ 7Right 원칙 철저히 준수
✅ 환자의 상태 및 약물 반응 지속 모니터링
✅ 정확한 기록 및 투약 후 부작용 관리
🚨 "안전한 투약 간호는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 핵심 역할이다!"
'기본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염 관리 (0) | 2025.03.25 |
---|---|
산소요법 (0) | 2025.03.25 |
활력징후(Vital Sign) (0) | 2025.03.24 |
체온 (0) | 2025.03.22 |
영양 공급 및 경장 영양 관리 (0) | 2025.03.22 |
구강 간호 (0) | 2025.03.22 |
체위 변경 (0) | 2025.03.22 |
욕창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