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본 간호

욕창

욕창(Pressure Ulcer)

욕창은 오랜 시간 지속적인 압력으로 인해 피부와 연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기간 침상에 누워 있는 환자에게 흔히 발생하며, 적절한 예방과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감염 및 조직 괴사로 진행될 수 있다.

간호사는 욕창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욕창 예방과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1. 욕창이란?

욕창(Pressure Ulcer, Bedsore)은 피부와 피하조직이 지속적으로 압박을 받으면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조직 괴사다.

 

📌 욕창의 주요 발생 원인

  • 지속적인 압력: 혈류 공급이 차단되면서 조직 괴사가 발생
  • 마찰(Friction): 피부가 침대나 옷과 지속적으로 마찰하면서 표피 손상
  • 전단력(Shear force): 환자가 미끄러지듯 움직일 때 피부층과 근육층이 서로 어긋나면서 조직 손상
  • 습기(Moisture): 땀, 소변, 대변 등으로 인해 피부가 약해지면서 손상 가능성 증가

2. 욕창의 발생 기전

욕창은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① 지속적인 압력에 의한 허혈(Hypoxia) 발생

  • 피부와 피하조직이 압박을 받으면 모세혈관이 눌려 혈류 공급이 차단된다.
  • 산소와 영양 공급이 중단되면 조직이 허혈 상태가 된다.

② 허혈로 인한 조직 괴사 진행

  • 초기에는 가벼운 홍반(발적)이 나타나지만, 압박이 지속되면 조직이 괴사하면서 피부가 손상된다.
  • 괴사가 심해지면 근육층과 심지어 뼈까지 손상될 수 있다.

③ 감염 및 이차적 합병증 유발

  • 욕창이 진행되면 외부 균이 침투하여 감염(욕창 감염성 궤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 심한 경우 패혈증(Sepsis)으로 진행될 수 있다.

3. 욕창의 단계별 특징

욕창은 손상의 정도에 따라 4단계로 구분된다.

🚨 1단계: 피부 발적 (Non-blanchable Erythema)

특징:

  • 피부가 붉어지고 눌러도 색이 돌아오지 않음
  • 피부 온도가 주변보다 상승하거나 차가울 수 있음
  • 가려움증, 따끔거림 등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음

간호 관리:

  • 환자의 체위 변경(2시간마다)
  • 피부 보호제(예: 바셀린) 도포
  • 압력 완화 쿠션 사용

🚨 2단계: 표피 및 진피 손상 (Partial-thickness Skin Loss)

특징:

  • 피부 표면이 벗겨지거나 얕은 궤양이 형성됨
  • 수포(물집)가 발생할 수 있음
  • 통증이 동반될 수 있음

간호 관리:

  • 습윤 드레싱(Wet dressing) 적용
  • 감염 예방을 위한 피부 세척
  • 환자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압박 최소화

🚨 3단계: 피하조직 손상 (Full-thickness Skin Loss)

특징:

  • 피부가 깊게 파이고 피하지방층까지 손상됨
  • 감염 위험 증가(노란색 괴사 조직 형성 가능)
  • 악취가 발생할 수 있음

간호 관리:

  • 상처 부위에 괴사 조직 제거(데브리망, Debridement)
  • 항생제 치료 필요할 수도 있음
  • 정기적인 상처 드레싱 및 감염 관리

🚨 4단계: 근육 및 뼈 손상 (Full-thickness Tissue Loss with Bone Exposure)

특징:

  • 근육, 힘줄, 심한 경우 뼈까지 노출될 수 있음
  • 심한 괴사와 감염 동반 가능
  • 패혈증 위험 높음

간호 관리:

  • 외과적 치료(괴사 조직 절제술) 필요
  • 광범위한 항생제 치료
  • 욕창 치료 전문 병동 또는 상처 치료 클리닉 연계 고려

4. 욕창 예방 방법

욕창은 예방이 가장 중요한 관리 방법이다. 다음과 같은 예방 전략을 실천하면 욕창 발생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① 정기적인 체위 변경 (Repositioning)

  • 2시간마다 체위 변경하여 압력 분산
  • 머리 높이는 30도 이하로 유지(전단력 감소)
  • 발뒤꿈치 보호 패드 사용

② 피부 보호 및 위생 관리

  • 피부가 건조하거나 습하지 않도록 관리
  • 배뇨·배변 실금 환자는 기저귀를 자주 교체하고 피부 보호 크림 도포
  • 부드러운 면 소재의 침구와 옷을 사용하여 마찰 감소

③ 영양 상태 개선

  • 단백질, 비타민 C, 아연이 풍부한 식단 제공(피부 재생 촉진)
  •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여 피부 건조 예방

④ 압력 완화 기구 사용

  • 에어 매트리스, 욕창 예방 방석 활용
  • 부드러운 쿠션을 사용하여 특정 부위의 압력 분산

5. 욕창 환자의 간호 관리

욕창이 발생한 환자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기본 간호 원칙
✔ 욕창 발생 부위의 압력 최소화
✔ 감염 예방을 위한 상처 관리
✔ 환자의 활동 범위를 늘려 혈액순환 촉진
✔ 환자의 영양 상태 점검

📌 상처 드레싱 방법
✔ 욕창 초기: 폼 드레싱(흡수력 좋은 드레싱 사용)
✔ 감염 발생 시: 항균 드레싱, 항생제 연고 적용
✔ 괴사 조직이 있으면 의료진과 협력하여 제거 (데브리망, Debridement)


마무리하며

욕창은 적절한 예방과 관리가 이루어지면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질환이다. 하지만 한 번 발생하면 치료가 어렵고 환자의 회복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간호사는 정기적인 체위 변경, 피부 보호, 영양 관리를 철저히 수행하여 욕창 예방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 또한 욕창이 발생한 경우, 단계에 맞는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욕창은 치료보다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욕창 관리의 핵심 원칙을 숙지하고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환자의 건강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욕창

 

'기본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소요법  (0) 2025.03.25
활력징후(Vital Sign)  (0) 2025.03.24
체온  (0) 2025.03.22
투약 간호  (0) 2025.03.22
영양 공급 및 경장 영양 관리  (0) 2025.03.22
구강 간호  (0) 2025.03.22
체위 변경  (0) 2025.03.22
정맥주사(IV) 삽입 및 관리  (0) 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