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본 간호

피내주사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 ID):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기본 간호 지침

서론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 ID)는 약물을 진피(dermis) 층에 주입하는 주사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결핵 검사(Tuberculin Test, PPD), 알레르기 검사(Allergy Test), 백신 접종(BCG) 등에 사용된다. 피내주사는 다른 주사법(근육주사, 피하주사)보다 약물이 천천히 흡수되도록 설계되었으며, 적은 양(0.1~0.5mL 이하)의 약물만 주입할 수 있다.

이 주사법은 아주 얇은 바늘을 사용하여 피부의 얕은 층에 주입해야 하므로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바늘 삽입 각도가 정확하지 않거나, 약물을 너무 깊이 주입하면 검사 결과가 왜곡될 수 있으며, 피부 손상이나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피내주사의 원리, 주요 적용 사례, 시행 방법, 주의사항 등을 철저히 이해하고 숙달해야 한다.


피내주사

1. 피내주사(ID)의 개념 및 특징

1) 피내주사의 정의

피내주사는 약물을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epidermis) 아래 진피층(dermis)에 주입하는 방법이다. 약물이 혈관에 직접 흡수되지 않고 진피층에 서서히 확산되도록 설계되어, 면역 반응을 평가하는 검사(예: 결핵 반응 검사)나 백신 접종 등에 활용된다.

2) 피내주사의 특징

장점

  • 약물이 천천히 흡수되어 면역 반응 평가 가능
  • 소량(0.1~0.5mL 이하)의 약물 투여 가능
  • 근육주사(IM) 및 피하주사(SC)보다 비교적 통증이 적음

단점

  • 바늘 삽입 각도가 정확하지 않으면 검사 결과 오류 발생 가능
  • 감염 예방을 위해 철저한 무균술 필요
  • 주사 부위가 붉어지거나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음

주요 적응증

  • 결핵 검사(Tuberculin Skin Test, TST, PPD 검사)
  • 알레르기 검사(Allergy Test, Prick Test)
  • 백신 접종(BCG, 천연두 백신 등)
  • 진단 목적(면역 반응 평가 등)

2. 피내주사(ID) 주사 부위

피내주사는 피부가 얇고 혈관이 적으며, 외부 자극이 적은 부위에 시행해야 한다.

1) 대표적인 주사 부위

전완 내측(Forearm, Inner Side)

  • 결핵 검사(PPD 검사)에 가장 흔히 사용
  • 손목과 팔꿈치 사이, 중앙에서 약간 아래쪽 부위에 주사

등 상부(Upper Back)

  • **알레르기 검사(Allergy Test)**에 사용
  • 넓은 부위에 여러 개의 주사를 시행할 수 있음

삼각근 하부(Upper Arm, Deltoid Region)

  • BCG 백신 접종 시 사용
  • 어깨 삼각근 아래 1~2cm 부위

3. 피내주사(ID) 시행 방법

1) 주사 준비 과정

필요한 물품

  • 멸균 주사기(1mL 이하, 미세 용량 측정 가능)
  • 알코올 솜
  • 주사약(필요 시 희석 여부 확인)

2) 피내주사 시행 절차

① 손 위생 및 장갑 착용

  • 감염 예방을 위해 비누로 손을 씻고 멸균 장갑 착용

② 주사 부위 선정 및 소독

  • 적절한 부위를 선정하고 알코올 솜으로 원심 방향으로 닦아 소독
  • 피부가 팽팽해지도록 한 손으로 잡아당김

③ 바늘 삽입

  • 바늘을 피부에 5~15도 각도로 삽입(거의 평행)
  • 바늘 끝이 진피층에 위치하도록 조정

④ 약물 주입

  • 천천히 주입하여 피부 아래 작은 팽륜(bleb, wheal) 형성 확인
  • 정상적인 피내주사는 팽륜이 6~10mm 크기로 형성

⑤ 바늘 제거 및 주사 부위 관리

  • 바늘을 제거하고, 주사 부위를 문지르지 않음(검사 결과 왜곡 방지)
  • 필요 시 패드로 가볍게 눌러 지혈

피내주사

4. 피내주사(ID) 시행 시 주의 사항 및 합병증

1) 주의 사항

바늘 삽입 각도 유지

  • 5~15도 각도로 삽입하여 진피층에 정확히 주입
  • 너무 깊이 주입하면 근육이나 피하층에 약물이 흡수되어 결과가 왜곡될 수 있음

주사 후 피부 반응 관찰

  • PPD 검사(결핵 검사)는 48~72시간 후 판독
  • 알레르기 검사는 15~30분 후 반응 확인

주사 부위 문지르지 않기

  • 문지르면 약물 분포가 달라져 검사 결과 오류 발생 가능

2) 피내주사의 합병증

🚨 주사 부위 감염

  • 무균술이 지켜지지 않으면 감염 위험 증가
  • 주사 후 발적, 부종, 통증 발생 시 즉시 보고

🚨 약물 반응 오류

  • 잘못된 부위에 주입하면 검사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 적절한 위치와 깊이를 유지해야 함

🚨 알레르기 반응

  • 심한 과민 반응(아나필락시스) 발생 가능
  • 호흡곤란, 심한 부종 발생 시 즉시 응급처치 필요

5. 결핵 검사(PPD)와 알레르기 검사 시 판독 방법

1) 결핵 검사(Tuberculin Test, PPD Test) 판독

48~72시간 후 경결 크기 측정

  • 5mm 이상: 면역저하자(예: HIV 환자)에서 양성
  • 10mm 이상: 결핵 고위험군에서 양성
  • 15mm 이상: 일반인에서 양성

2) 알레르기 검사(Allergy Test) 판독

15~30분 후 피부 반응 관찰

  • 팽진(wheal)과 홍반이 크면 알레르기 가능성 높음

결론

피내주사는 결핵 검사, 알레르기 검사, 백신 접종 등에 필수적인 주사법으로, 정확한 바늘 삽입 각도와 주사 방법이 중요하다. 바늘을 진피층에 정확히 삽입하고, 주사 후 적절한 관찰을 시행함으로써 검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간호사는 피내주사 시행 시 올바른 기술과 감염 예방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여, 환자의 안전과 정확한 진단을 보장해야 한다. 😊

'기본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 사정  (0) 2025.04.03
정보 관리  (0) 2025.04.03
피하주사  (0) 2025.04.03
근육주사  (0) 2025.04.02
무균술  (0) 2025.04.02
장루 간호  (0) 2025.04.01
수술 전후 간호  (0) 2025.04.01
수액요법  (0)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