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본 간호

낙상

기본간호 – 낙상(Fall) 예방과 간호 관리

1. 서론

낙상(Fall)은 환자가 원하지 않게 바닥 또는 낮은 곳으로 넘어지거나 추락하는 사고를 의미하며, 특히 고령 환자, 수술 후 회복기 환자, 인지 기능 저하 환자에서 발생 위험이 높다. 낙상은 단순한 사고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골절, 뇌손상, 기능 저하 등의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으며, 환자의 회복을 방해하고 입원 기간을 연장하는 요인이 된다.

특히 병원 환경에서는 침대에서의 추락, 화장실에서의 미끄러짐, 보행 중 균형 상실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낙상이 발생할 수 있다. 간호사는 환자의 낙상 위험을 사전에 평가하고, 낙상 예방을 위한 중재를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낙상의 원인, 위험 요인, 평가 도구, 예방 전략 및 간호 중재 방법을 전문적으로 다룬다.


낙상

2. 낙상의 원인과 위험 요인

낙상은 신체적 요인, 환경적 요인, 약물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1) 신체적 요인

근력 약화 및 균형 감각 저하 – 근감소증(Sarcopenia), 뇌졸중, 파킨슨병
시력 저하 – 백내장, 녹내장, 당뇨망막병증
인지 기능 저하 – 치매, 섬망, 알츠하이머병

🔹 2) 환경적 요인

미끄러운 바닥, 어두운 조명
침대 난간 미설치, 적절한 보조기구 부족
신발 불량(크기가 맞지 않거나 미끄러운 신발 착용)

🔹 3) 약물 요인

진정제, 수면제(benzodiazepines), 항우울제 – 어지러움, 졸음 유발
이뇨제 – 빈번한 화장실 이용으로 인해 밤중 낙상 위험 증가
항고혈압제 – 기립성 저혈압으로 인해 어지러움 발생


3. 낙상 위험 평가 도구

환자의 낙상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가 사용된다.

📌 1) Morse Fall Scale (MFS)

낙상 경험 여부(과거 낙상 유무)
보행 보조기구 사용 여부
이차적 진단(기저질환 존재 여부)
정신 상태(인지 장애 여부)

📍 점수가 높을수록 낙상 위험이 크며, 45점 이상이면 고위험군으로 분류됨.

📌 2) Hendrich II Fall Risk Model

섬망/인지 장애 여부
우울증 진단 여부
기립성 저혈압 여부
보행 장애 여부

📍 점수가 5점 이상이면 낙상 위험이 높은 것으로 간주됨.


4. 낙상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

낙상 예방을 위해서는 환자의 신체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 1) 환경 조정

✅ 침대 난간을 올리고, 침대를 가장 낮은 높이로 조정
✅ 화장실 바닥 및 복도에 미끄럼 방지 매트 설치
✅ 조명을 밝게 유지하여 시야 확보

📌 2) 환자의 활동 보조

✅ 보행 보조기, 지팡이 사용을 권장하고, 이동 시 간호사 동반
✅ 침상에서 일어날 때 천천히 일어나도록 교육(기립성 저혈압 예방)
✅ 수술 후 환자는 낙상 위험이 높은 시기(회복 초반) 동안 침상 안정 유지

📌 3) 보호대 및 착용 기구 활용

✅ 낙상 고위험 환자는 낙상 예방 보호대(wrist restraint) 착용
✅ 낙상 방지 양말(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양말) 착용 권장

📌 4) 약물 관리

✅ 진정제, 항우울제 복용 환자는 낙상 위험이 증가함을 교육
✅ 기립성 저혈압 유발 약물 복용 시 천천히 움직이도록 유도

📌 5) 가족 및 보호자 교육

✅ 환자가 침상에서 벗어나려 할 때 즉시 간호사 호출
✅ 보호자는 환자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필요 시 도움 제공


5. 낙상 발생 시 간호사의 대처 방법

낙상이 발생했을 경우, 간호사는 신속하게 대응하여 환자의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해야 한다.

📌 1) 낙상 직후 초기 대응

✅ 환자의 의식 상태 및 신체 손상 여부 확인
✅ 즉시 활력징후(혈압, 맥박, 호흡수, 산소포화도) 측정
✅ 출혈 여부, 골절 가능성 확인 후 필요 시 의사에게 보고

📌 2) 낙상 후 사정 및 기록

✅ 낙상의 원인을 분석하고 낙상 발생 보고서 작성
✅ 낙상 발생 시점, 위치, 상황을 기록하여 예방 대책 수립
✅ 낙상 후 환자의 불안감 감소를 위한 심리적 지지 제공


6. 낙상 예방을 위한 병원 내 정책

📌 1) 낙상 예방 프로그램 운영

✅ 병원 내 낙상 예방 지침 마련 및 교육 프로그램 시행
✅ 낙상 발생률 모니터링 및 지속적인 개선 노력

📌 2) 다학제적 접근

✅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등이 협력하여 낙상 예방 전략 수립
고위험군 환자에게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 제공


낙상

7. 결론

낙상은 병원 내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사고 중 하나이며, 적절한 예방 조치를 통해 상당 부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령 환자, 인지 장애 환자, 보행 장애 환자는 낙상 위험이 높으므로, 간호사는 낙상 위험 평가를 철저히 수행하고 맞춤형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낙상 예방을 위한 환경 조정, 보호 기구 활용, 교육, 약물 관리 등의 전략을 적극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 또한, 만약 낙상이 발생했을 경우 신속한 응급 처치와 철저한 평가 및 기록이 필요하다.

병원 및 요양 시설에서는 낙상 예방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본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체검진  (0) 2025.04.08
간호기록  (0) 2025.04.07
침상목욕  (0) 2025.04.07
신체보호대  (0) 2025.04.07
기관절개술 간호  (0) 2025.04.06
인공호흡기  (0) 2025.04.06
호흡곤란  (0) 2025.04.05
간호 사정  (0)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