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본 간호

기관절개술 간호

기관절개술 간호

기관절개술(tracheostomy)과 간호 – 시술 방법, 합병증 예방 및 간호 중재

1. 서론

기관절개술(tracheostomy)은 기도 확보를 위해 기관(trachea)에 개구부를 만드는 외과적 시술이다. 환자의 기도 폐쇄가 심하거나 장기간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경우,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여 호흡을 원활하게 유지한다.

이 시술은 중환자실(ICU)에서 흔히 시행되며, 뇌졸중, 신경근 질환, 외상, 기도 폐쇄, 장기적인 인공호흡기 적용이 필요한 환자에게 적용된다. 기관절개술 후에는 감염 예방, 기도 분비물 관리, 석션(suction), 튜브 교환 등의 지속적인 간호가 필수적이다.

이 글에서는 기관절개술의 개념, 적용 대상, 시술 방법, 간호 중재 및 합병증 예방에 대해 전문적으로 다룬다.


2. 기관절개술(tracheostomy)이란?

기관절개술은 기도 확보를 목적으로 목 앞쪽(경부)에 절개를 가하고 기관 튜브(tracheostomy tube)를 삽입하는 외과적 시술이다. 이를 통해 공기 흐름을 직접 기관으로 유도하여 기도 폐쇄 환자, 장기적인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 등이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

📌 기관절개술의 주요 목적
✔ 장기간 기계 환기 적용이 필요한 환자의 기도 유지
✔ 상기도 폐쇄로 인해 호흡이 어려운 환자의 기도 확보
✔ 점액 분비물 배출 촉진 및 석션(suction) 용이성 증가
✔ 구강 및 후두 손상 예방


3. 기관절개술 적용 대상

기관절개술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자발적인 호흡이 어렵거나, 기도 폐쇄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적용된다.

🔹 1) 급성 또는 만성 기도 폐쇄

✅ 후두 부종, 후두경련
✅ 종양으로 인한 기도 협착
✅ 기관 협착증(tracheal stenosis)

🔹 2) 신경근 질환 및 근육 마비

✅ 루게릭병(ALS), 다발성 경화증(MS)
✅ 길랭-바레 증후군(GBS)
✅ 척수 손상

🔹 3) 장기적인 기계적 환기 필요 환자

✅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악화
✅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 중증 뇌손상 및 뇌졸중 환자


4. 기관절개술의 유형과 시술 방법

기관절개술은 전통적인 외과적 방법과 경피적 기관절개술로 나뉜다.

🔹 1) 외과적 기관절개술(Surgical Tracheostomy)

✔ 피부를 절개하고, 기관 연골 일부를 제거하여 기관 튜브를 삽입
✔ 응급 상황이나 장기적인 기관절개술 필요 시 시행

🔹 2) 경피적 확장 기관절개술(Percutaneous Dilatational Tracheostomy, PDT)

✔ 가이드 와이어와 확장기를 사용하여 기관 개구부를 넓히는 방식
✔ 침습성이 적고, 시술 시간이 짧아 ICU에서 주로 시행

🔹 3) 응급 기관절개술(Emergency Tracheostomy)

✔ 기도 폐쇄로 인한 응급 상황에서 신속히 시행
✔ 기구가 없을 경우 응급적으로 "윤상갑상절개술(cricothyroidotomy)" 시행 후 기관절개술로 전환


5. 기관절개술 환자의 간호 중재

기관절개술을 받은 환자는 지속적인 간호가 필요하며, 감염 예방과 기도 유지가 가장 중요하다.

📌 1) 기도 유지 및 석션 관리

✅ 기관절개 튜브 내 점액 제거를 위해 정기적으로 기관 석션(suction) 시행
✅ 무균적 기술을 사용하여 감염 예방

📌 2) 산소 공급 및 환기 관리

✅ 튜브가 막히지 않도록 점액 제거 및 흡입 가습
✅ 인공호흡기 적용 시 적절한 FiO₂(산소 농도) 조절

📌 3) 감염 예방 간호

✅ 기관절개 부위는 매일 소독하고, 드레싱 교환
✅ 손 위생 철저 및 무균적 간호 수행

📌 4) 구강 및 피부 간호

✅ 구강 위생을 철저히 유지하여 세균 감염 예방
✅ 튜브 주변 피부 자극 여부 확인

📌 5) 환자의 의사소통 지원

✅ 환자가 말하기 어려운 경우, 커뮤니케이션 보드, 필기 도구 활용
✅ 발성용 튜브 사용 가능 여부 평가


6. 기관절개술 후 합병증과 예방 간호

기관절개술 후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주요 합병증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1) 출혈 및 기도 손상

✅ 시술 직후 출혈 여부 면밀히 확인
✅ 기관절개 튜브 교환 시 점막 손상 방지

🔹 2) 감염(Tracheostomy-related Infection)

✅ 기관절개 부위 소독 및 무균적 간호 수행
✅ 발열, 삼출물 증가 시 감염 여부 확인

🔹 3) 기관 협착 및 폐쇄

✅ 튜브 막힘 방지를 위해 석션 및 수분 공급
✅ 기관절개 튜브가 너무 오래 유지되지 않도록 조기 제거 고려

🔹 4) 무기폐(Atelectasis) 예방

✅ 흉부 물리치료 및 심호흡 운동 제공
✅ 적절한 PEEP(호기말 양압) 유지


7. 기관절개 튜브 교환 및 제거(Decannulation)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면 기관절개 튜브를 제거하는 과정(Decannulation)이 필요하다.

📌 1) 기관절개 튜브 제거 기준

✅ 자발적인 기도 보호 능력 회복
✅ 자발 호흡 유지 가능
✅ 점액 배출이 원활하며 석션 빈도 감소

📌 2) 기관절개 튜브 제거 후 간호

✅ 환자의 호흡 상태 지속 모니터링
✅ 기관절개 부위 드레싱 적용 및 감염 예방


8. 결론

기관절개술은 기도 확보 및 장기적인 기계 환기 관리가 필요한 환자에게 필수적인 시술이다. 그러나 기관절개술 후에는 기도 유지, 감염 예방, 석션 관리, 피부 간호, 의사소통 지원 등의 철저한 간호가 필요하다.

특히 환자의 상태에 맞춰 기관절개 튜브 교환 및 조기 제거 여부를 신중히 결정해야 하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인 간호 중재가 중요하다.

기관절개술 환자의 회복을 돕기 위해, 간호사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전문적인 간호 지식을 바탕으로 최적의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기본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기록  (0) 2025.04.07
침상목욕  (0) 2025.04.07
신체보호대  (0) 2025.04.07
낙상  (0) 2025.04.06
인공호흡기  (0) 2025.04.06
호흡곤란  (0) 2025.04.05
간호 사정  (0) 2025.04.03
정보 관리  (0)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