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단과 간호

심부전

심부전

심부전(Heart Failure)과 간호 – 원인, 증상 및 간호 중재

1. 서론

심부전(Heart Failure)은 심장이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심장은 혈액을 펌프질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온몸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만, 심부전이 발생하면 이 기능이 저하되어 호흡곤란, 부종,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부전은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질환이며, 심장 질환 중에서도 높은 유병률과 사망률을 보인다.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심부전 환자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심부전 환자의 적절한 치료와 간호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 글에서는 심부전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방법 및 간호 중재에 대해 상세히 다룬다.


2. 심부전이란?

심부전(Heart Failure, HF)은 심장의 수축력(심근 수축) 또는 이완 능력(심실 충만)이 저하되어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이 감소하는 질환이다.

심부전은 크게 **좌심부전(Left-sided HF)과 우심부전(Right-sided HF)**으로 구분되며, 급성 심부전과 만성 심부전으로도 분류된다.

📌 심부전의 주요 특징
✔ 심장의 펌프 기능 저하
✔ 혈액 순환 감소로 인해 신체 조직에 산소 공급 부족
✔ 부종, 호흡곤란, 피로 등의 증상 동반


3. 심부전의 원인과 위험 요인

🔹 1) 심부전의 주요 원인

심부전은 다양한 심혈관 질환과 전신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고혈압(Hypertension) - 고혈압이 지속되면 심장에 부담이 증가하여 심부전으로 발전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 - 심근경색 후 심장 기능 저하
심근병증(Cardiomyopathy) - 심근의 구조적 이상으로 인해 수축력 저하
판막질환(Valvular Disease) - 심장 판막이 좁아지거나(협착) 제대로 닫히지 않는 경우(역류)
부정맥(Arrhythmia) - 심박수 조절이 되지 않으면 심장의 부담 증가

🔹 2) 심부전의 위험 요인

고령(65세 이상) - 심장의 노화로 인해 발생 위험 증가
흡연 및 과음 - 심근 손상과 혈압 상승 유발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 - 혈관 손상을 초래하여 심부전 발생 가능
비만 및 대사증후군 - 심장에 과부하 증가
만성 신장질환(CKD) - 체내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이 심부전 악화


4. 심부전의 종류와 증상

🔹 1) 좌심부전(Left-sided HF)

좌심실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폐울혈(pulmonary congestion)**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증상

  • 호흡곤란(Dyspnea)
  • 기좌호흡(Orthopnea) - 누우면 호흡곤란 악화
  • 야간 발작성 호흡곤란(PND)
  • 피로 및 무기력감

🔹 2) 우심부전(Right-sided HF)

우심실이 혈액을 폐로 제대로 보내지 못하면서 말초 부종과 정맥 울혈이 발생한다.

주요 증상

  • 하지 부종(Edema)
  • 경정맥 확장(Jugular Vein Distension, JVD)
  • 복수(Ascites)
  • 간비대(Hepatomegaly)

5. 심부전의 진단 방법

📌 1) 신체검사 및 문진

부종, 호흡곤란, 청진 소견 확인
경정맥 확장, 폐부종 여부 평가

📌 2) 심장 관련 검사

심전도(EKG, ECG) - 부정맥 및 심장 이상 평가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 심실 기능과 판막 상태 확인
BNP(Brain Natriuretic Peptide) 검사 - 심부전 여부 평가(BNP 수치 상승 시 심부전 가능성 높음)

📌 3) 혈액 검사 및 영상 검사

혈액 검사(CBC, 전해질, 신장 기능 검사)
흉부 X-ray - 폐울혈 및 심비대 확인


6. 심부전의 치료 방법

🔹 1) 약물 치료

ACE 억제제(Enalapril, Lisinopril) - 혈관 확장 및 심장 부담 감소
ARB(Losartan, Valsartan) - ACE 억제제 대체제로 사용 가능
베타차단제(Metoprolol, Carvedilol) - 심박수 조절 및 심근 보호
이뇨제(Furosemide, Spironolactone) - 체액 저류 감소 및 부종 완화

🔹 2) 비약물 치료

저염식이 및 수분 제한
운동 요법(적절한 유산소 운동 권장)
심장 재활 프로그램 참여

🔹 3) 중재적 치료

심박동기 삽입술(Pacemaker Implantation) - 부정맥 조절
심장이식(Heart Transplant) - 말기 심부전 환자 대상


7. 심부전 환자의 간호 중재

📌 1) 호흡 곤란 완화 간호

산소 요법(Oxygen Therapy) 적용
기좌호흡 자세 유지(반좌위 권장)

📌 2) 체액 균형 유지

이뇨제 투여 후 소변량 모니터링
체중 측정(하루 2kg 이상 증가 시 의료진 보고)
나트륨 섭취 제한(하루 2g 이하)

📌 3) 심장 부담 최소화

과도한 활동 제한 및 적절한 휴식 제공
심박수, 혈압 정기 모니터링

📌 4) 생활 습관 개선

저염식, 금연, 금주 권장
체중 관리 및 규칙적인 운동 습관 유지


8. 결론

심부전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만성 질환이다. 간호사는 심부전 환자의 호흡 상태, 체액 균형, 심박출량 유지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환자가 질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특히 식이 조절, 생활 습관 개선, 약물 복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환자가 자가 관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심부전 간호에서 매우 중요하다. 

'진단과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상동맥 질환  (0) 2025.04.14
심근경색과 협심증  (0) 2025.04.13
결핵  (0) 2025.04.13
치매  (0) 2025.04.12
패혈증  (0) 2025.04.04
폐렴  (0) 2025.04.04
신부전(CKD)  (0) 2025.04.01
당뇨  (0)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