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단과 간호

폐렴

폐렴과 간호 - 원인, 증상 및 간호 중재

폐렴(Pneumonia)은 폐의 세기관지와 폐포에 염증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노인, 만성질환자, 면역력이 약한 환자는 폐렴에 걸릴 위험이 크며, 심한 경우 호흡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간호사는 폐렴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통해 호흡기 증상을 완화하며 합병증을 예방해야 한다. 본 글에서는 폐렴의 원인, 증상, 진단 방법, 치료 및 간호 중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다.


폐렴

1. 폐렴(Pneumonia) 이란?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감염으로 인해 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염증이 발생하면 폐포에 삼출액이 차게 되어 산소 교환이 어려워지고 호흡곤란, 기침,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폐렴은 감염 경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구분특징
지역사회 획득 폐렴(CAP) 병원 외부에서 감염된 폐렴
병원 획득 폐렴(HAP) 입원 48시간 이후에 발생한 폐렴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에서 발생한 폐렴

2. 폐렴의 원인과 위험 요인

📌 1) 폐렴의 주요 원인

세균성 폐렴 - 가장 흔한 형태로, *스트렙토코커스 폐렴균(Streptococcus pneumoniae)*이 주요 원인
바이러스성 폐렴 - 인플루엔자, 코로나바이러스, RSV(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등이 원인
진균성 폐렴 -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서 발생하며 칸디다(Candida),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등이 원인

📌 2) 폐렴의 위험 요인

고령(65세 이상) 및 영유아
만성 질환(당뇨,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심부전 등)
면역 저하(암, HIV 감염, 장기이식 후 면역억제제 복용 환자)
흡연, 음주 및 영양 불균형
장기간의 병원 입원 또는 인공호흡기 사용


3. 폐렴의 증상과 진단 방법

🔹 1) 폐렴의 주요 증상

폐렴의 증상은 원인균과 환자의 면역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호흡기 증상 - 기침, 가래, 흉통, 호흡곤란
전신 증상 - 발열, 오한, 피로, 식욕 저하
청진 소견 - 수포음(Crackles), 천명음(Wheezing), 기관지 호흡음 증가

📌 고령자의 경우 발열이 뚜렷하지 않고 의식 저하, 혼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2) 폐렴의 진단 방법

흉부 X-ray - 폐 침윤 확인
혈액 검사 - 백혈구 수치 상승(WBC 증가), CRP(염증 수치) 증가
객담 배양 검사 - 원인균 확인을 위한 검사
산소포화도 측정(SpO₂) - 저산소증 여부 평가


4. 폐렴의 치료 방법

📌 1)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제 치료

세균성 폐렴 -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 사용
바이러스성 폐렴 - 인플루엔자 폐렴의 경우 오셀타미비르(타미플루) 사용
진균성 폐렴 - 항진균제(플루코나졸, 암포테리신 B) 사용

📌 2) 산소 치료

✔ 저산소증이 있는 환자는 산소 투여(O₂ therapy) 시행
✔ 중증 폐렴 환자는 고유량 산소요법(HFNC) 또는 기계 환기(인공호흡기) 고려

📌 3) 대증 치료

✔ 해열제(아세트아미노펜) 사용하여 발열 조절
✔ 충분한 수분 공급으로 가래 배출 촉진
✔ 기침 완화를 위한 흡입기 및 기관지 확장제 사용


5. 폐렴 환자를 위한 간호 중재

🔹 1) 호흡기 간호

기도 개방 유지 - 체위 배액, 기침 유도, 흡인(suction) 시행
산소 요법(O₂ therapy) 적용 - SpO₂ 95% 이상 유지
심호흡 및 기침법 교육 - 가래 배출 촉진

🔹 2) 감염 관리

손 위생 철저히 시행하여 교차 감염 예방
✅ 객담이 많은 환자는 일회용 티슈 사용 후 폐기
✅ 항생제 치료 시 정확한 복용법 설명

🔹 3) 영양 및 수분 공급

✅ 고열 및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 유도
✅ 면역력 강화를 위한 고단백, 고칼로리 식사 제공

🔹 4) 활동 조절 및 안위 간호

✅ 폐렴 환자는 피로를 쉽게 느끼므로 충분한 휴식 제공
✅ 통증이 있는 경우 진통제 투여 및 편안한 자세 유지

📌 노인 환자의 경우 폐렴 증상이 경미할 수 있어 의식 상태 변화, 식욕 저하, 탈수 증상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6. 폐렴 예방을 위한 생활 관리

📌 1) 폐렴 예방접종

폐렴구균 백신(PCV13, PPSV23) 접종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 독감 예방을 통해 폐렴 위험 감소

📌 2) 생활 습관 관리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감염 예방 철저히 하기
금연 및 금주 - 폐 건강 유지
충분한 수면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


7. 결론

폐렴은 호흡기 감염 중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중요하다. 간호사는 호흡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산소 공급, 감염 관리, 영양 및 활동 조절 등의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고령자와 면역 저하 환자에서 폐렴은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백신 접종 및 생활 습관 관리를 통해 폐렴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폐렴 간호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고, 실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환자의 회복을 돕는 것이 간호사의 역할이다. 

'진단과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부전  (0) 2025.04.05
패혈증  (0) 2025.04.04
신부전(CKD)  (0) 2025.04.01
당뇨  (0) 2025.03.30
고혈압  (0) 2025.03.29
고지혈증  (0) 2025.03.28
뇌졸중  (0) 2025.03.28
퇴행성관절염과 류마티스관절염  (0)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