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단과 간호

뇌졸중

뇌졸중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며, 생존하더라도 후유장애를 남길 가능성이 높은 질환이다. 특히 급성기 뇌졸중 환자는 빠른 처치가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의료진 중에서도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뇌졸중의 병태생리, 종류, 치료 원칙, 그리고 간호 관리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1. 뇌졸중이란?

뇌졸중(Stroke)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조직에 혈액 공급이 중단되는 질환이다. 이는 뇌세포의 괴사를 유발하며,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신경학적 결손이 영구적으로 남을 수 있다.

뇌졸중은 크게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출혈성 뇌졸중(뇌출혈)으로 구분된다. 각 유형마다 원인과 치료법이 다르므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2. 뇌졸중의 종류

1)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허혈성 뇌졸중은 전체 뇌졸중의 약 80%를 차지하며, 뇌혈관이 혈전(thrombus) 또는 색전(embolus)에 의해 막혀서 발생한다.

  • 혈전성 뇌경색(Thrombotic Stroke):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으로 인해 뇌혈관 내벽에 플라크가 쌓이고 혈전이 형성되어 혈관이 서서히 막힌다.
  • 색전성 뇌경색(Embolic Stroke): 심장에서 생성된 색전이 혈류를 타고 이동하여 뇌혈관을 막는다. 대표적인 원인은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이다.
  • 일과성 허혈 발작(TIA, Transient Ischemic Attack): 뇌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여 일시적인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지만 24시간 이내에 회복된다. 이는 뇌경색의 전조증상으로 간주된다.

2)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출혈성 뇌졸중은 뇌혈관이 터지면서 뇌조직에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 뇌내출혈(ICH, Intracerebral Hemorrhage): 뇌혈관이 터져서 뇌조직 내로 직접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로, 주로 고혈압이 원인이다.
  • 지주막하출혈(SAH, Subarachnoid Hemorrhage): 뇌동맥류(aneurysm)가 파열되면서 지주막하강에 출혈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극심한 두통과 의식 저하가 특징적이다.

3. 뇌졸중의 병태생리

뇌졸중이 발생하면 뇌세포는 산소와 영양 공급이 차단되어 괴사된다. 허혈성 뇌졸중의 경우, 혈류 차단 후 3~4분 이내에 뇌조직 손상이 시작되며, 30분 이상 지속되면 광범위한 괴사가 진행된다.

반면, 출혈성 뇌졸중에서는 혈액이 뇌조직을 압박하면서 뇌부종, 두개내압 상승(ICP 증가), 뇌 탈출(Brain Herniation)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4. 뇌졸중의 주요 증상

뇌졸중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FAST 원칙 (조기 인식법)

  • F(Face, 얼굴 마비): 한쪽 얼굴이 처지거나 비대칭 발생
  • A(Arm, 팔의 힘 감소): 한쪽 팔을 들어올리기 어렵거나 감각 이상
  • S(Speech, 언어 장애): 발음이 어눌해지고, 문장을 제대로 말하지 못함
  • T(Time, 신속한 대응):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방문

추가적인 증상으로는 심한 두통, 어지러움, 시야장애, 보행 장애 등이 있다.


5. 뇌졸중 환자의 치료

1) 허혈성 뇌졸중 치료

  • 정맥 내 혈전용해제(tPA,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투여 (발생 4.5시간 이내)
  • 혈전 제거술(Thrombectomy): 큰 혈관이 막힌 경우 시행
  • 항혈전제(아스피린, 와파린 등) 투여

2) 출혈성 뇌졸중 치료

  • 뇌출혈 감압술 및 혈종 제거술
  • 혈압 조절을 위한 항고혈압제 투여
  • 뇌부종 감소를 위한 삼투성 이뇨제(마니톨) 사용

6. 뇌졸중 환자의 간호 관리

뇌졸중 환자의 간호는 급성기, 회복기, 재활기의 각 단계에서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

1) 급성기 간호

신경학적 사정(Glasgow Coma Scale, NIHSS 평가) 실시
기도 유지 및 산소 공급 (산소포화도 94% 이상 유지)
혈압 및 혈당 조절 (고혈압 및 저혈당 예방)
뇌부종 예방을 위한 머리 30도 상승
DVT 예방을 위한 조기 움직임 유도

2) 회복기 간호

삼킴 장애(Dysphagia) 관리: 연하 장애 평가 후 적절한 식이 제공
피부 손상 예방: 체위 변경을 통한 욕창 방지
근육 위축 예방: 물리치료 및 재활 운동 실시

3) 재활기 간호

언어치료 및 작업치료 병행
자기 관리 독립성 증진
우울증 예방을 위한 심리적 지지 제공


7. 뇌졸중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관리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적극 관리
금연 및 절주
건강한 식단 유지 (저염식, 저지방식)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주 3회 이상 걷기, 조깅)


뇌졸중

뇌졸중은 응급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간호가 이루어진다면 회복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신속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뇌졸중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간호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간호 전략을 실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진단과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부전  (0) 2025.04.05
패혈증  (0) 2025.04.04
폐렴  (0) 2025.04.04
신부전(CKD)  (0) 2025.04.01
당뇨  (0) 2025.03.30
고혈압  (0) 2025.03.29
고지혈증  (0) 2025.03.28
퇴행성관절염과 류마티스관절염  (0)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