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본 간호

I/O

 

I/O

I/O

서론: I/O 측정의 중요성과 간호사의 역할

환자의 체액 균형은 신체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I/O(Intake & Output) 측정은 환자의 수분 및 전해질 상태를 평가하는 핵심적인 과정으로, 신장 기능, 심혈관계 상태, 탈수 여부, 부종 여부 등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특히, 입원 환자, 신부전 환자, 심부전 환자, 수술 후 환자 등에서는 체액 관리가 치료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사는 정확한 I/O 기록을 수행해야 합니다. 


1. I/O(Intake & Output)란?

1-1. I/O의 개념

I/O는 섭취량(Intake)과 배설량(Output)을 측정하여 환자의 체액 균형을 평가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섭취량(Intake): 환자가 섭취한 모든 액체(음료, 정맥 주사액, 경장영양 등)
  • 배설량(Output): 환자가 배출한 모든 액체(소변, 대변, 구토물, 배액, 발한 등)

I/O 측정은 체액 균형 유지, 탈수 및 부종 예방, 신장 및 심혈관계 건강 평가 등에 활용됩니다.

1-2. I/O 측정이 필요한 대상

다음과 같은 환자들은 I/O 측정이 필수적입니다.

신부전 환자 – 소변 배출량 감소(핍뇨/무뇨) 여부 확인
심부전 환자 – 체액 과부하 여부 평가
수술 후 환자 – 체액 균형 유지 및 회복 상태 모니터링
중환자실(ICU) 입원 환자 – 정확한 체액 조절 필수
탈수 또는 전해질 불균형 환자 – 수액 치료 적정성 평가


2. 섭취량(Intake) 측정 방법

2-1. 섭취량의 구성 요소

환자가 섭취한 액체는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경구 섭취(Oral Intake)
✔️ 물, 차, 주스, 우유 등 모든 음료
✔️ 국물류 음식(예: 미음, 수프)
✔️ 젤라틴, 아이스크림(녹은 후 액체가 되는 음식)

2️⃣ 정맥 주사(IV Therapy)
✔️ 수액(포도당 수액, 생리식염수, 링거액 등)
✔️ 혈액 및 혈액 제제(수혈)
✔️ 정맥으로 투여되는 영양제(TPN, PPN)

3️⃣ 경장영양(Enteral Nutrition, EN)
✔️ 비위관(NG tube) 또는 위루관(PEG tube)으로 주입된 영양액

4️⃣ 기타
✔️ 투석액(Dialysis Fluid), 특별한 검사나 치료를 위한 주입액

2-2. 섭취량 기록 방법

  • 환자가 섭취한 모든 액체는 mL(밀리리터) 단위로 기록
  • IV 수액의 경우 투여된 총량에서 남은 양을 빼고 계산
  • 경장영양은 주입된 양을 정확히 기록

3. 배설량(Output) 측정 방법

3-1. 배설량의 구성 요소

환자가 배출한 체액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소변(Urine Output)
✔️ 정상적인 배뇨
✔️ 카테터(Foley catheter) 또는 인공방광(urostomy)에서 배출된 소변

2️⃣ 대변(Stool Output)
✔️ 설사(Diarrhea)는 배설량으로 포함
✔️ 정상 변은 일반적으로 측정하지 않지만, 변비 치료 과정에서 중요할 경우 기록

3️⃣ 배액(Drainage)
✔️ 위관 흡인물(NG suction)
✔️ 수술 후 배액관(예: JP drain, Hemovac)에서 나오는 배액
✔️ 흉강 배액(Chest tube drainage)

4️⃣ 출혈(Bleeding) 및 구토(Vomitus)
✔️ 위장관 출혈(GI bleeding)
✔️ 다량의 구토(Emesis)

5️⃣ 발한 및 기타(Sweat & Others)
✔️ 땀(Sweat)은 대량 발한 시 고려
✔️ 인공 호흡기 사용 시 기화된 체액 손실 포함 가능

3-2. 배설량 기록 방법

  • 소변량은 정확한 mL 단위로 기록(소변백 또는 배뇨량 측정컵 사용)
  • 배액량은 배액관의 눈금 측정 후 기록
  • 출혈, 구토 등은 추정량을 기록하되, 가능한 한 정확한 측정을 위해 용기 사용

4. I/O 기록과 해석

4-1. 정상적인 체액 균형의 기준

  • 일반적으로 섭취량과 배설량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해야 함
  • 정상적인 성인은 하루 평균 2,000~2,500mL의 섭취 및 배설량을 가짐

4-2. I/O 불균형의 해석

I/O 불균형이 발생하면, 신체 기능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체액 과다(Fluid Overload)
✔️ 섭취량 > 배설량 → 부종, 폐부종, 고혈압 발생 가능
✔️ 원인: 신부전, 심부전, 과도한 수액 투여
✔️ 간호 중재: 이뇨제 투여, 수분 제한, 모니터링 강화

2️⃣ 체액 부족(Dehydration)
✔️ 배설량 > 섭취량 → 탈수, 저혈압, 전해질 불균형 발생 가능
✔️ 원인: 설사, 다뇨증, 출혈, 발한 증가
✔️ 간호 중재: 수액 보충, 전해질 검사, 체액 균형 유지


5. 간호사의 역할과 중재 방법

5-1. I/O 측정의 정확성 유지

  • 모든 섭취량과 배설량을 빠짐없이 기록
  • IV 수액의 정확한 주입량 확인
  • 환자가 보고하지 않은 수분 섭취량 파악

5-2. 환자 교육 및 모니터링

  • 환자에게 I/O 측정의 필요성 설명
  • 소변량 감소, 부종, 탈수 징후 관찰
  • 필요 시 의사에게 보고하여 적절한 중재 시행

5-3. 특수 환자 관리

  • 신부전, 심부전 환자는 엄격한 I/O 관리 필수
  • 중환자는 시간 단위로 체액 균형 확인
  • 수술 후 환자는 배액량 및 출혈 여부 지속 모니터링

결론: I/O 측정의 핵심 포인트

✔️ I/O 측정은 환자의 체액 균형을 평가하는 필수 과정
✔️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여 신체 항상성 유지
✔️ 체액 과다 또는 부족 시 신속한 간호 중재 시행
✔️ 특수 환자군(신부전, 심부전, 중환자)은 더욱 정밀한 모니터링 필요

 

간호사는 정확한 I/O 기록을 통해 환자의 체액 균형을 유지하고, 질병 치료 및 회복을 효과적으로 지원해야 합니다.

'기본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액관  (0) 2025.03.29
PICC  (0) 2025.03.29
골절 간호  (0) 2025.03.28
투석 혈관 관리  (0) 2025.03.27
운동사정(Motor Assessment)  (0) 2025.03.27
의식사정(Consciousness Assessment)  (0) 2025.03.26
중심정맥관  (0) 2025.03.26
인슐린  (0)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