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사정(Motor Assessment)
서론: 운동사정의 중요성과 간호사의 역할
운동기능은 신체의 근육이 조정되고 움직이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신경계, 근골격계, 순환계 등 다양한 시스템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환자의 운동 기능이 저하되거나 이상이 발생하면, 근력 약화, 보행 장애,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독립적인 생활 능력과 회복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운동사정(Motor Assessment)은 환자의 근력, 근긴장도, 협응력, 반사, 움직임의 대칭성 등을 평가하여 신경학적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본 글에서는 운동사정의 개념, 평가 방법, 신경학적 질환과의 관계, 운동 이상 시 간호 중재 방법을 전문적으로 다루어 간호 대학생과 간호사들이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1. 운동사정의 개요
1-1. 운동사정이란?
운동사정(Motor Assessment)은 환자의 근력, 근긴장도, 협응력, 운동 범위(ROM, Range of Motion), 반사 기능 등을 평가하여 신경학적 및 근골격계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운동사정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경계 및 근골격계 이상 조기 발견
✔️ 근력 저하나 마비 상태 확인
✔️ 보행 및 운동 기능 평가
✔️ 재활 계획 수립 및 치료 효과 평가
1-2. 운동사정이 필요한 대상
운동기능 검사는 신경학적 문제가 의심되는 환자뿐만 아니라, 여러 임상 상황에서 시행됩니다.
- 뇌졸중(Stroke) 환자: 편마비, 근력 저하 평가
-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환자: 마비 정도 및 회복 상태 확인
- 근육질환(Myopathy) 환자: 근위축 및 근력 저하 평가
- 수술 후 환자: 재활 계획 수립을 위한 근력 및 운동 범위 평가
- 고령 환자: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기능 평가
2. 운동사정의 주요 평가 방법
운동사정은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됩니다.
2-1. 근력 검사(Muscle Strength Test, MMT)
근력 검사는 근육이 움직이는 힘을 평가하는 과정으로, **도수근력검사(Manual Muscle Testing, MMT)**가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1) 도수근력검사(MMT) 척도
근력은 0에서 5까지의 척도로 평가합니다.
5 | 정상적인 근력 (완전한 저항 가능) |
4 | 약간의 저항은 가능하지만 정상보다 약함 |
3 | 중력에 대항하여 움직일 수 있으나 저항은 못함 |
2 | 중력 제거 시 움직일 수 있음 |
1 | 근육 수축은 있으나 움직임 없음 |
0 | 근육 수축 없음 (완전 마비) |
(2) 근력 검사 방법
- 환자에게 특정 근육을 수축하도록 지시
- 저항을 가하여 근력 평가
- 좌우 근력을 비교하여 대칭성 확인
2-2. 근긴장도 검사(Muscle Tone Assessment)
근긴장도(Tone)는 근육의 긴장 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정상, 근긴장 증가(강직), 근긴장 감소(이완)**로 구분됩니다.
- 정상(Normal): 근육이 적절한 긴장 상태 유지
- 근긴장 증가(Hypertonia): 경직(Spasticity) 또는 강직(Rigidity)이 나타남
- 근긴장 감소(Hypotonia): 근육의 탄력성이 저하되고 이완됨
2-3. 운동 조정 능력 검사(Coordination Test)
운동 조정 능력은 소뇌 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불안정한 움직임(Ataxia)**이 있는지 평가합니다.
(1) 소뇌 기능 검사
✅ 손가락-코 검사(Finger-to-Nose Test): 손가락으로 코를 정확히 터치하는 능력 확인
✅ 발뒤꿈치-정강이 검사(Heel-to-Shin Test): 한쪽 발의 뒤꿈치를 반대쪽 정강이에 대고 위아래로 움직이기
✅ 빠른 교대 운동 검사(Rapid Alternating Movements, RAMs): 손을 앞뒤로 빠르게 회전시키는 능력 평가
소뇌 기능 이상이 있으면 운동 조정이 원활하지 않고, 떨림(Tremor)이나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관찰됨
2-4. 반사 검사(Reflex Test)
반사는 신경계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1) 심부건반사(Deep Tendon Reflex, DTR) 평가
무릎반사(Patellar reflex) | L2~L4 | 무릎이 펴짐 |
아킬레스반사(Achilles reflex) | S1~S2 | 발이 아래로 움직임 |
상완이두근반사(Biceps reflex) | C5~C6 | 팔꿈치가 구부러짐 |
삼두근반사(Triceps reflex) | C7~C8 | 팔꿈치가 펴짐 |
(2) 병적 반사(Pathologic Reflex)
- 바빈스키 반사(Babinski reflex): 발바닥을 자극했을 때 엄지발가락이 위로 올라가면 신경 손상 의심
- 호프만 반사(Hoffman’s Sign): 손가락을 튕겼을 때 비정상적인 움켜쥠 반응 발생 시 신경병증 의심
3. 운동 이상 증상과 간호 중재
3-1. 마비(Paresis & Paralysis)
- 편마비(Hemiparesis): 한쪽 팔과 다리에 근력 저하
- 사지마비(Quadriplegia): 양쪽 팔과 다리 마비
- 하지마비(Paraplegia): 하반신 마비
🔹 간호 중재: 재활 운동, 보조기 사용, ROM 운동 시행
3-2. 근육 경련(Spasm)과 강직(Spasticity)
- 원인: 신경 손상, 뇌졸중, 척수 손상
🔹 간호 중재: 물리치료, 근이완제 투여, 온찜질
3-3. 떨림(Tremor)
- 파킨슨병 관련 떨림(Resting tremor)
🔹 간호 중재: 운동 치료, 약물 조절
결론: 운동사정의 핵심 포인트
✔️ 근력, 근긴장도, 협응력, 반사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
✔️ MMT 및 신경학적 검사를 활용하여 객관적인 평가 수행
✔️ 근육 약화나 마비가 있는 경우 조기 간호 중재 시행
✔️ 환자의 기능 회복을 돕기 위한 재활 및 운동 치료 적용
운동사정은 환자의 독립적인 생활과 재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므로, 간호사는 체계적인 평가와 적절한 간호 중재를 통해 환자의 회복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