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비보험

당뇨 진단받았는데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 질병코드 기준 정리

당뇨 진단받았는데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 질병코드 기준 정리

당뇨 진단받았는데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 질병코드 기준 정리

많은 분들이 당뇨 진단을 받으면 “보험금은 이제 끝났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질병코드가 무엇인지에 따라 보험금 수령 가능 여부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당뇨병은 단순한 만성질환으로 볼 수도 있지만, 합병증이 동반되었거나 특정 질병코드로 진단서가 발급될 경우에는 입원비, 실손, 진단비 등 보험금 청구가 가능합니다.


1. 당뇨병 질병코드 체계 정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사용하는 당뇨 관련 질병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코드 설명
E10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제1형)
E11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제2형)
E13 기타 당뇨병 (혼합형, 내분비 이상 등)
E14 원인 미상의 당뇨병
O24 임신성 당뇨
R73 혈당장애 (당뇨병 전단계 / 보험금 청구 불가)

E10~E14는 실손보험 및 진단비 보험에서 청구 가능성이 있습니다.
❌ R73은 진단이 아닌 검사 수치 이상으로 보기 때문에 **보험금 청구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

2. 보험금 수령 가능한 질병코드 vs 거절당할 수 있는 코드

📌 보험금 지급 가능한 경우

  • ✔ E11.9 – 제2형 당뇨병, 합병증 없음 → 실손청구 가능
  • ✔ E11.3 – 제2형 당뇨병 + 안과 합병증 → 진단비/입원비 가능
  • ✔ E13.2 – 췌장질환 유발 당뇨 → 특약 보장 가능

⚠ 보험금 지급 어려운 경우

  • ❌ R73.0 – 공복혈당장애 (진단 아님)
  • ❌ Z13.1 – 당뇨 검사 목적 코드 (Z코드는 보통 보장 안 됨)
  • ❌ O24.4 – 임신성 당뇨, 증상 경미한 경우 지급 거절 사례 다수

핵심은 진단서 상 ‘E코드(정식 질병)’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Z코드나 R코드로만 기록될 경우, 대부분 보험사는 “치료 목적이 아닌 검사 목적”으로 간주해 지급을 거절합니다.

📌 보험금 청구 전에 질병코드부터 꼭 확인하세요.
E11~E14로 진단된 경우, 청구 가능합니다.

---

3. 당뇨 진단서 작성 시 주의할 표현

  • ✅ “제2형 당뇨병(E11)으로 진단받고 약물 치료 중”
  • ✅ “당뇨병에 의한 망막병증(E11.3)으로 치료 중”
  • ❌ “고혈당 경향 있음(R73)” → 보험금 지급 거절
  • ❌ “검진상 혈당 수치 이상(Z코드)” → 비급여 처리, 실손 불가

진단서를 요청할 때는 ‘진단명 + 질병코드’가 정확히 포함되도록 부탁하세요.
특히 실손보험 청구용 진단서는 병원 서류 담당자에게 목적을 정확히 설명해야 합니다.

---

4. 실손보험 vs 진단비 보험 – 당뇨 청구 가능 범위

보험 종류 청구 가능? 보장 범위
실손보험 가능 약값, 검사비, 혈당측정기 등
질병 진단비 조건부 가능 E11+합병증 있어야 가능성↑
입원특약 가능 당뇨로 인한 입원 시 일당 지급
기본사망보험 제한 없음 사인 무관하게 지급
---

📌 마무리 요약

  • ✔ 당뇨병이라도 질병코드 E11~E14면 보험금 청구 가능
  • ✔ 검사목적 R73, Z코드만 있으면 지급 거절 위험 큼
  • ✔ 진단서 작성 시 ‘진단명 + 질병코드’ 반드시 확인
  • ✔ 진단비 보험은 합병증 여부에 따라 청구 가능

보험금은 질병명보다
질병코드가 더 중요합니다.

청구 전 진단서 문구와 코드, 반드시 점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