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본 간호

관장

관장

기본 간호: 관장의 개념과 간호 실무에서의 적용

서론: 관장의 중요성과 간호사의 역할

관장(enema)은 직장과 결장에 용액을 주입하여 대변 배출을 촉진하는 기본 간호 기술로, 변비 완화, 장 정화, 약물 투여 등의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특히 수술 전 장 준비, 변비 치료, 약물 흡수 촉진, 독성 물질 배출 등을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정확한 관장 시행은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부작용을 줄이며,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간호사는 관장의 적응증과 금기 사항을 숙지하고,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관장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1. 관장의 개념과 목적

1.1 관장의 정의

관장은 항문을 통해 액체를 직장과 결장으로 주입하여 대변 배출을 돕는 방법입니다. 주입된 용액은 장벽을 자극하거나 대변을 부드럽게 만들어 배출을 유도합니다.

1.2 관장의 목적

변비 해소: 대변이 장에 오래 머물면서 굳어지는 것을 방지
장 정화: 수술, 내시경 검사, 분만 전 장을 깨끗하게 비우기 위해 시행
약물 투여: 직장을 통해 항경련제, 해열제 등의 약물 흡수를 촉진
독성 물질 제거: 음식 중독, 약물 중독 시 독소 배출 촉진


2. 관장의 종류 및 특성

관장은 목적과 사용되는 용액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2.1 치료 목적에 따른 관장 분류

관장 종류설명적응증
배변 유도 관장 (Cleansing Enema) 직장과 결장 내 변 배출 촉진 변비, 장 정화
약물 관장 (Medicated Enema) 항문을 통해 약물 투여 해열제, 진경제 투여
기름 관장 (Oil Retention Enema) 장 점막을 보호하고 변을 부드럽게 함 심한 변비, 치질 환자
기포 관장 (Carminative Enema) 장 내 가스를 배출 복부 팽만감 해소
조영제 관장 (Barium Enema) 장을 영상으로 확인하기 위한 조영제 주입 X-ray, CT 검사

2.2 용액 성분에 따른 관장 분류

관장액 종류특징 및 작용주의사항
생리식염수(Normal Saline, 0.9%) 체액과 동일한 삼투압을 유지, 안전함 신부전 환자 주의
비눗물(Soap Suds) 장벽을 자극하여 연동운동 촉진 과도한 사용 시 장 점막 자극
글리세린(Glycerin) 대변을 부드럽게 하며 배출 촉진 직장 점막 자극 가능
하이퍼토닉 용액(Hypertonic Solution) 장 내 삼투압 증가로 수분 유입, 신속한 배변 유도 탈수 환자 금기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대변을 코팅하여 쉽게 배출 장기간 사용 시 지용성 비타민 흡수 저해

3. 관장 시행 방법

3.1 관장 시행 전 준비

📌 필요 물품 준비

  • 관장 용액(생리식염수, 비눗물 등)
  • 윤활제(젤 형태)
  • 일회용 장갑
  • 방수 시트
  • 배설물 용기(변기, 침상 변기)
  • 환자용 가운

📌 환자 교육

  • 관장 중 불편할 수 있으나, 효과적인 배변을 위해 참아야 함
  • 필요하면 심호흡을 하면서 긴장을 풀도록 유도
  • 시행 후 15~30분 동안 참았다가 배변하도록 안내

3.2 관장 시행 절차

① 환자 자세 유지

  • 왼쪽 측위(Sims' position)로 눕힘 → 직장과 결장이 자연스러운 각도로 정렬됨
  • 무릎을 약간 구부려 편안한 자세 유지

② 용액 주입

  • 카테터 끝을 윤활제로 코팅 후, 항문으로 7~10cm 삽입(성인 기준)
  • 용액을 500~1,000mL(생리식염수 기준) 천천히 주입
  • 용액을 너무 빨리 주입하면 복통, 장 경련 유발 가능

③ 용액 유지 및 배변 유도

  • 용액이 장 내에 머무르도록 15~30분간 유지
  • 환자가 배변 욕구를 느낄 때까지 기다린 후, 화장실 이동

4. 관장 시행 후 간호 및 주의사항

4.1 관장 후 간호 관리

배변 상태 확인: 대변의 양, 색, 점성, 냄새 기록
환자의 반응 관찰: 복통, 어지러움, 혈압 저하 여부 확인
배변 후 회음부 청결 유지

4.2 관장 시행 시 주의해야 할 점

직장 출혈이 있는 경우 즉시 중단
심한 복통이 지속될 경우 용액 주입 속도 조절
심혈관 질환 환자는 혈압 저하 가능성 주의


5. 간호사의 역할과 실무 적용

5.1 간호사의 역할

🔹 환자의 배변 패턴 및 상태 사정
🔹 관장 종류 선택 및 시행 방법 결정
🔹 시행 전후 환자 상태 모니터링
🔹 감염 예방 및 위생 관리 철저

5.2 실무에서의 관장 적용 사례

수술 전 장 정화: 결장암 수술 전 관장 시행
변비 환자 관리: 고령 환자의 만성 변비 개선
약물 투여: 해열제(예: 타이레놀 관장제) 사용


결론: 올바른 관장 시행이 환자의 건강을 좌우한다

관장은 변비 완화, 장 정화, 약물 투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중요한 기본 간호 기술입니다. 올바른 관장 시행을 위해 관장 종류, 적응증, 시행 방법, 주의사항을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평가하고, 안전한 관장 시행을 위한 위생 관리, 감염 예방, 환자 교육을 철저히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가 편안하고 효과적으로 배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입니다. 🚑💊

관장

'기본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혈 관리  (0) 2025.03.26
혈당관리  (0) 2025.03.26
혈액검체  (0) 2025.03.26
수혈간호  (0) 2025.03.26
배변 관리  (0) 2025.03.25
배뇨 관리  (0) 2025.03.25
통증:약물 치료  (0) 2025.03.25
심폐소생술  (0)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