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보험 가입 시 주의할 질병코드
치아보험에 가입하려는 사람들이 가장 놓치기 쉬운 부분이 바로 ‘질병코드’입니다. 치과 진료기록은 병원에 남기 때문에, 보험사들은 가입자의 과거 진료 이력을 조회해 이미 진단받은 치아 질환이 있는 경우 보장을 거절하거나 면책 조항을 적용합니다. 따라서 보험 가입 전에 **어떤 질병코드가 치아보험 보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확히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치아보험에서 주의해야 할 주요 질병코드 목록
질병코드 | 질환명 | 보장 제외 가능성 | 설명 |
---|---|---|---|
K02 | 치아우식증 (충치) | 높음 | 기존에 치료받은 충치는 보장 제외될 수 있음 |
K03 | 기타 치질환 | 중간 | 치아 마모, 균열, 변색 등은 보험 심사 시 주요 고려사항 |
K04 | 치수 및 치근 주위 질환 | 높음 | 신경치료 이력은 대부분 보장 제외 항목 |
K05 | 치주질환 (잇몸병) | 매우 높음 | 만성 치주염 진단 시, 임플란트 등 보철 보장 제외 가능성 높음 |
K08 | 기타 치아 질환 | 중간 | 치아 상실, 틀니 관련 진료 이력 포함될 수 있음 |
S02.5 | 치아의 골절 | 조건부 | 외상에 의한 경우는 보장 가능, 기존 손상은 제외 |
질병코드는 어떻게 보험사에 전달되나요?
보험사들은 가입자의 고지 의무를 기반으로 최근 5년 이내의 병력과 진료기록을 요구합니다. 특히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진료 이력을 보험사로 제출하면, 거기에는 **진료 날짜, 병원명, 질병코드, 진료내용**이 모두 포함됩니다. 이 과정에서 K04(신경치료), K05(치주질환)와 같은 코드가 확인되면 해당 치아는 **보장 제외**, 혹은 전체 보험 가입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로 알아보는 보장 제외 이슈
40대 직장인 A씨는 치아보험에 가입한 후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했지만 보험금 청구가 거절되었습니다. 사유는 ‘가입 1년 전 치주질환(K05)으로 인한 치료 이력’ 때문이었습니다. 보험사 측은 해당 치아는 이미 병력이 있어 **사전에 약관에서 보장 제외**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다른 사례로, 대학생 B씨는 외상으로 앞니가 부러져 보험금을 청구했으며, 질병코드 S02.5(치아 골절)로 등록되어 **보장 대상이 승인**되었습니다. 이처럼 코드에 따라 보장 여부가 명확히 갈리는 만큼, 과거 진료기록과 질병코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치아보험 가입 전 확인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진료내역 → 질병코드 조회
- 가까운 병원에서 본인 진료기록 출력 요청
- 보험 설계사에게 코드 관련 사전심사 요청
특히 **치주질환(K05)**, **신경치료(K04)**는 가장 빈번하게 보장 제외 사유가 되므로, 진료기록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치아는 면책**되거나 **부분 보장**이 적용됩니다.
치아보험은 단순히 ‘가입만 하면 끝’이 아니라, 내가 어떤 질환 이력이 있는지에 따라 보장 범위가 크게 달라집니다. 보험금을 제대로 받기 위해서는 가입 전에 내 과거 치과 치료 기록을 확인하고, **질병코드에 따른 보장 여부를 꼼꼼히 점검**해야 합니다. 지금이라도 진료기록을 확인해보고, 나에게 유리한 보험 가입 조건을 만들어보시길 바랍니다.
'치아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보험 보장 제외 조건 총정리 (0) | 2025.07.02 |
---|---|
임플란트 보장형 치아보험만 모은 비교표 (0) | 2025.07.02 |
치아 보험의 ‘보철치료’ 보장 범위 꼼꼼 비교 (0) | 2025.07.01 |
2025 치아보험 추천순위 TOP5 (0) | 2025.07.01 |
노년층을 위한 치아보험 추천 (0) | 2025.07.01 |
치아보험 청구 시 거절되는 진료 항목 정리 (1) | 2025.07.01 |
임플란트 2개 이상 받을 때 치아보험 청구 가능 여부 (0) | 2025.06.30 |
교정치료는 치아보험으로 가능할까? (2)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