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아보험, 어린이보험

NICU 입원 시 1일당 보험금 계산 공식

NICU 입원 시 1일당 보험금 계산 공식

NICU 입원 시 1일당 보험금 계산 공식 — 계산법과 예제

NICU 입원 시 1일당 보험금 계산 공식 — 계산법과 예제

신생아가 NICU에 입원하면 보호자는 ‘하루에 보험금이 얼마 나오나?’를 가장 먼저 묻습니다. 보험사는 대개 입원일당을 설정해 일수 × 일당으로 지급하거나, 일당에 더해 진단비·치료비를 추가로 지급합니다. 이 글에서는 보험금 산출의 기본 공식과 변수를 명확히 정의한 뒤, 실제 숫자로 단계별 계산을 보여드립니다. 또한 공제(자기부담)나 지급 비율이 있는 경우의 적용 방법과 청구 시 자주 발생하는 실수 및 확인 체크리스트도 함께 정리합니다.

1) 기본 개념과 변수 정의

먼저 사용될 변수를 정의합니다.

  • D = 입원일수 (일)
  • R = 보험사의 1일당 지급액 (원/일)
  • L = 일당 최대지급 한도(연/사건별 한도: 원)
  • S = 진단비(고정 일시금, 원)
  • P = 지급비율(보험사가 보장하는 비율, 예: 100% = 1.0, 70% = 0.7)
  • G = 공제금(건당 공제 혹은 자기부담금, 원)
  • Total = 최종 수령액(원)

2) 기본 계산 공식 (가장 단순한 경우)

가장 기본적인 모델(일당 × 일수 + 진단비)이 다음과 같습니다.

Total = min(D × R, L) + S

설명:

  • min(D × R, L) : 일당 × 일수의 결과가 일당 한도 L를 넘지 않도록 제한합니다.
  • S : 진단비(있다면 더함).

3) 지급비율(P) 및 공제(G) 적용 공식 (현실적 모델)

일부 상품은 전체 금액에 지급비율을 적용하거나 공제를 차감합니다. 이 경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총청구액 = min(D × R, L) + S
지급액 = max( (총청구액 × P) - G , 0 )

주의: 지급액은 0원보다 작지 않으므로 음수일 경우 0으로 처리합니다.

4) 계산 예제 1 — 기본 사례 (단순 일당 + 진단비)

조건 : D = 4일, R = 70,000원/일, L = 1,000,000원, S = 150,000원, P = 1.0, G = 0원

단계별 계산 (자리수별 정확 계산):

  1. 먼저 D × R 계산:
    70,000 × 4 =?
    70000 × 4 = 280000 (계산 과정: 7×4=28 → 뒤에 세 자리 000을 붙이면 280,000)
  2. min(D×R, L) = min(280,000, 1,000,000) = 280,000
  3. 총청구액 = 280,000 + 150,000 =?
    280000 + 150000 = 430000 (계산 과정: 280,000 + 150,000 = 430,000)
  4. P 적용 및 공제: 지급액 = (430,000 × 1.0) − 0 = 430,000

결과 : Total = 430,000원

5) 계산 예제 2 — 지급비율과 공제 적용

조건 : D = 6일, R = 80,000원/일, L = 500,000원(사건 한도), S = 0원, P = 0.8(80%), G = 10,000원

단계별 계산:

  1. D × R 계산: 80,000 × 6 = ?
    80000 × 6 = 480000 (계산: 8×6=48 → 뒤에 000 붙여 480,000)
  2. min(D×R, L) = min(480,000, 500,000) = 480,000
  3. 총청구액 = 480,000 + 0 = 480,000
  4. P 적용: 480,000 × 0.8 = ?
    480000 × 0.8 = 384000.0 → 소수점 없이 384,000원
  5. 공제 차감: 지급액 = 384,000 − 10,000 = 374,000

결과 : Total = 374,000원

6) 계산 예제 3 — 일당 한도에 걸리는 경우

조건 : D = 15일, R = 100,000원/일, L = 1,000,000원, S = 200,000원, P = 1.0, G = 0원

단계별 계산:

  1. 80,000×?가 아닌, 100,000 × 15 계산: 100,000 × 15 = ?
    100000 × 15 = 1,500,000 (계산: 100,000 × 10 = 1,000,000; 100,000 × 5 = 500,000 → 합 1,500,000)
  2. min(D×R, L) = min(1,500,000, 1,000,000) = 1,000,000 (일당 최댓값 적용)
  3. 총청구액 = 1,000,000 + 200,000 = 1,200,000
  4. 지급액 = 1,200,000 × 1.0 − 0 = 1,200,000

결과 : Total = 1,200,000원

7) 실무 팁 — 청구 전 반드시 확인할 것들

  • ✔ 가입 약관에서 일당(R), 일당 한도(L), 진단비(S) 항목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 ✔ 일부 특약은 지급비율(P)이나 건별 공제(G)를 적용합니다. 약관 문구를 확인하세요.
  • ✔ 병원에서 발급한 진단서에는 입원일수(D), 입원실 종류(NICU 명시), 치료내역을 반드시 기재해달라고 요청하세요.
  • ✔ 보험사 앱에서 ‘청구 가능한 항목 목록’을 미리 확인하면 누락 없이 청구할 수 있습니다.

8) 청구 시 자주 묻는 질문(Q&A)

Q. 일당은 병원 청구액의 일부를 의미하나요?
A. 보험사의 일당은 보험사 약관에 명시된 지급 기준으로, 병원 청구액(실제 병원비)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보험사는 ‘정액 지급’ 또는 ‘실비 대비 정률 지급’ 방식 중 하나를 채택합니다.

Q. 진단비(S)는 무조건 지급되나요?
A. 진단비는 별도 특약으로 설정한 경우에만 지급됩니다. 가입 당시 진단비 특약 포함 여부를 확인하세요.

9) 결론 — 공식과 확인 항목 요약

요약하면, NICU 관련 보험금은 총청구액 = min(D × R, L) + S를 기본으로 하고, 보험사별로 지급비율(P)과 공제(G)를 적용하여 실제 수령액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정확한 지급액을 알기 위해서는 **(1) 일당(R)**, **(2) 일당 한도(L)**, **(3) 진단비(S)**, **(4) 지급비율(P)**, **(5) 공제(G)** 항목을 가입 약관에서 확인하신 후 위 공식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필요한 서류 체크리스트

  • ✔ 진단서(입원일수, 진단명, 치료내역, 의사 서명/직인)
  • ✔ 입퇴원 확인서(입원실 종류 : NICU 표기)
  • ✔ 진료비 세부 영수증
  • ✔ 보험금 청구서(보험사 양식)

위 공식과 예제를 바탕으로 본인의 약관 수치로 직접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필요하시면 “내 약관 수치 대입해 계산해 주세요”라고 하시면, 제공하신 수치로 정확하게 계산해 드리겠습니다.